행정사무감사 교육
지방의회 의원 역량강화 교육
1. 감사지표 설계 및 사전준비 전략
감사지표 설계 및 사전준비 전략 교육과정
행정사무감사의 성공은 사전 기획과 지표 설계에 달려 있습니다.
본 과정은 행정사무감사 대상 사업을 효과적으로 선정하고, 정책목표에 맞는 감사지표를 설계하는 능력을 키웁니다. 또한 지방정부로부터 제출받는 서류 및 자료의 활용도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사전준비 전략을 실습 중심으로 학습합니다.
교과목 구성:
-
감사 목적에 따른 주요 분야 선정법
-
체크리스트 기반 감사지표 설계 실습
-
자료요구서 작성 전략
-
감사지적 사전예측 기법
● 강의계획서
강의제목: 감사지표 설계 및 사전준비 전략
강의시간: 2시간
교육대상: 지방의회 의원, 정책지원관, 감사 실무자
강의목표:
-
감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핵심지표 설계 능력 강화
-
사전 자료분석과 문제제기 포인트 구성 역량 배양
주요내용:
-
행정사무감사 개요 및 법적 근거
-
감사 대상 사업 선정 기준
-
사전 자료 수집 및 분석법
-
감사지표와 체크리스트 설계 실습
성과 산출물:
-
감사지표 세트(분야별 3개 이상)
-
자료요구서 초안
2. 현장감사 기법 및 AI 분석 실무
현장감사 기법 및 AI 분석 실무 교육과정
감사는 '현장에서 답을 찾는 일'입니다. 본 과정은 현장 중심의 감사 질의 기법과 AI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전략을 결합한 실전 교육입니다.
ChatGPT, NotebookLM 등을 활용한 자료요약, 핵심 추출, 문서 비교 등 AI 기반 감사 보조기법을 실습 중심으로 익힐 수 있습니다.
교과목 구성:
-
실효성 있는 현장 질의 설계
-
기관장·담당자 응답유도 질문 기법
-
AI 기반 문서 분석, 비교, 요약 실습
-
감사 중 즉석 대응 전략
● 강의계획서 형식
강의제목: 현장감사 기법 및 AI 분석 실무
강의시간: 2시간
교육대상: 지방의원, 정책지원관, 감사담당 공무원
강의목표:
-
실효성 있는 현장 중심 감사 질의 구사 능력 습득
-
AI 기반 도구를 활용한 행정자료 요약 및 분석 역량 강화
주요내용:
-
질의 구성 전략: 정책적·제도적·예산적 접근
-
AI 도구 활용 실습 (ChatGPT, NotebookLM 등)
-
유사기관 사례 비교 분석 기법
-
현장 피드백 활용 및 대응전략 훈련
성과 산출물:
-
감사 질의 시나리오
-
AI 기반 요약 분석 리포트
3. 감사보고서 작성과 후속 모니터링
감사보고서 작성과 후속 모니터링 교육과정
감사의 결론은 보고서이고, 실효성은 후속조치에 달려 있습니다.
본 과정은 감사지적 정리와 보고서 구성기법, 후속 모니터링 체계 설계를 실습 중심으로 학습합니다.
결과 중심 감사를 위한 표현기법, 지적사항의 체계적 분류법, 후속조치 추적을 위한 환류 구조 설계를 포함합니다.
교과목 구성:
-
감사결과 요약 및 분류 실습
-
보고서 구조(본문, 요약, 부록 등) 설계
-
지적사항 이행상황 모니터링 체계
-
후속 감시 도구(AI·DB 등) 활용법
● 강의계획서 형식
강의제목: 감사보고서 작성과 후속 모니터링
강의시간: 2시간
교육대상: 의원, 전문위원, 정책보좌관, 감사담당자
강의목표:
-
감사지적 사항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명확하게 표현하는 보고서 작성 능력 강화
-
후속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환류할 수 있는 모니터링 체계 설계 역량 향상
주요내용:
-
감사보고서 작성 구조와 표현원칙
-
감사내용 분류·정리 실습
-
이행계획 추적 방법 및 데이터 구축
-
후속 감시 도구 및 AI 모니터링 개요
성과 산출물:
-
감사보고서 요약본
-
후속조치 모니터링 매뉴얼(초안)